원격 교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격 교육은 우편,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이루어지는 교육 방식이다. 1728년 속기 강좌를 시작으로 19세기 런던 대학교의 외부 프로그램, 20세기 초 호주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통신 교육, 1937년 시카고의 라디오 방송을 통한 원격 학습 등을 거쳐 발전해왔다. 한국에서는 1972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설립을 시작으로 사이버대학, 이러닝, 온라인 수업 등으로 확대되었으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원격 교육은 동시 학습과 비동시 학습, E-러닝, M-러닝, U-러닝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칸 아카데미, 코세라, 유다시티와 같은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통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원격 교육의 효과와 한계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학습자 맞춤형 교육, 콘텐츠 개발, 상호작용 강화, 한국형 모델 구축 등을 통해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격 교육 - 사이버대학
사이버대학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시공간 제약 없이 교육을 제공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 대한민국에서는 고등교육법에 따라 학사 학위 수여 기관으로 인정받으며 다양한 교육 과정과 유연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성인 학습자에게 고등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한다. - 원격 교육 -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는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원격대학으로, 열린대학교육협의회가 시초가 되어 현재는 13개의 학과를 운영하며 국내 유수 대학들과 컨소시엄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원격 교육 | |
---|---|
개요 | |
유형 | 교육 |
분야 | 교육학 |
다른 이름 | 원격 교육 통신 교육 온라인 교육 전자 학습 가상 학습 분산 학습 |
하위 유형 | 혼합 학습 개방형 학습 유연 학습 웹 기반 학습 |
역사 | |
기원 | 1840년대, 영국 |
관련 인물 | 아이작 피트먼 |
특징 | |
특징 | 학습 관리 시스템 사용 기술 활용 교사와 학생 간의 물리적 분리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 |
장점 | |
장점 | 접근성 향상 유연성 자기 주도 학습 가능 비용 효율성 |
단점 | |
단점 | 기술적인 문제 발생 가능성 사회적 상호작용 부족 자기 훈련 필요 |
형태 | |
형태 | 인쇄물 기반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 컴퓨터 기반 인터넷 기반 (온라인 학습) |
관련 기술 | |
관련 기술 | 인터넷 화상 회의 학습 관리 시스템 (LMS) 가상 학습 환경 (VLE)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
주요 내용 | |
설명 |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학습자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방식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 콘텐츠 전달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지원 다양한 학습 자료 제공 |
참고 자료 | |
참고 | 홈스쿨링과는 구별됨 학교 밖 학습과는 구별됨 |
2. 역사
원격 교육의 초기 시도는 1728년 "케일럽 필립스(Caleb Philipps)"가 매주 우편으로 수업을 보내는 방식으로 속기를 가르치는 것이었다.[18]
현대적 의미의 최초의 원격 교육은 1840년대 아이작 피트만 경이 엽서를 통해 속기를 가르치면서 시작되었다. 학생의 피드백을 받는 양방향 시스템은 피트만 시스템의 중요한 혁신이었다. 1840년 영국 전역에 균일 우편 요금이 도입되면서 이러한 노력은 확장 가능해졌다.[18] 3년 후, 속기 통신 협회가 설립되었고, 이는 영국 전역에 아이작 피트만 컬리지 설립으로 이어졌다.
미국 최초의 통신 학교는 1873년에 설립된 가정 학습 장려 협회였다.[19] 1890년대 시카고 대학교의 윌리엄 레이니 하퍼는 통신 강좌를 장려했고,[20] 이는 시카고 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실행되었다.[21][22] 펜실베이니아주 스크랜턴의 국제 통신 학교는 1890년대에 등록 학생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23]
진보 시대에 교육은 매우 중요했으며, 야간 학교와 사립 통신 학교는 유연하고 집중적인 해결책을 제공했다.[25] 전미 기업 학교 협회는 1913년 37개에서 1920년 146개로 증가했다.[26] 1907년 밀워키에서 시작하여, 공립 학교는 무료 직업 프로그램을 개설하기 시작했다.[26]
1938년에는 통신 교육 국제 회의가 첫 회의를 개최했다.[27] 이후 이 단체는 국제 원격 교육 협의회(ICDE)로 이름을 바꾸고 노르웨이 오슬로에 본부를 두고 있다.[30]
영국의 열린 대학교(OU)는 해럴드 윌슨 총리 시절 노동당 정부에 의해 설립되었다.[37] 마이클 영의 비전을 바탕으로 1965년에 계획이 시작되었고, 제니 리가 고등 교육에서 최고 수준의 학문적 접근성을 확대하는 모델을 구축했다.[37] OU는 1971년에 25,000명의 학생을 받아들였고, 급진적인 개방 입학 정책을 채택했다.[33]
캐나다의 애서배스카 대학교, 스페인의 국립 원격 교육 대학교,[35] 독일의 하겐 원격 대학교[36] 등도 열린 대학교의 영향을 받아 설립되었다.[37] 1858년에는 런던 대학교에서 "External Programme"이라는 명칭의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광대한 국토와 낮은 인구 밀도로 인해 원격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11년 퀸즐랜드 대학교는 통신 학습부(Department of Correspondence Studies)를 설립했다.[125]
2. 1. 한국의 원격 교육 역사
1972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설립되어 한국 최초로 원격 고등 교육을 시작하였다.[125] 1980년대에는 방송통신고등학교가 개교하여 중등 교육 분야에서도 원격 교육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인터넷 기술 발달과 함께 사이버 대학 등 온라인 교육이 활성화되었다.2000년대에는 이러닝 산업 발전법이 제정되고, 교육 정보화 사업이 추진되면서 원격 교육이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온라인 수업이 전면적으로 시행되면서 원격 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 시절 구축된 IT 인프라 덕분에 한국은 비교적 원활하게 원격 교육으로 전환할 수 있었던 반면,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관련 투자가 미흡하여 교육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는 K-에듀 통합 플랫폼 구축 등 디지털 교육 혁신을 추진하며 원격 교육 발전에 힘쓰고 있다.
3. 종류
원격 교육은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왔다. 인터넷 기술은 열린 교육 자원, e-러닝, MOOC와 같은 시설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원격 교육을 가능하게 했다. 인터넷의 확장은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지만, 원격 교육 기술은 크게 동시 학습과 비동시 학습의 두 가지 전달 방식으로 나뉜다.
동시 학습동시 학습에서 모든 참여자는 전통적인 교실 수업과 마찬가지로 가상 교실에서 동시에 "참석"한다. 시간표가 필요하다. 웹 컨퍼런싱, 화상 회의, 교육 텔레비전, 교육용 텔레비전은 직접 방송 위성 (DBS), 인터넷 라디오, 실시간 스트리밍, 전화, 웹 기반 VoIP와 함께 동시 기술의 예이다.[126][127][128]
웹 컨퍼런싱 소프트웨어는 수업 회의를 용이하게 하며, 일반적으로 텍스트 채팅, 설문 조사, 손 들기, 이모티콘 등과 같은 추가적인 상호 작용 도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구는 동시 세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는 학생들의 비동시 참여도 지원한다. 몰입형 환경 (특히 세컨드 라이프)도 원격 교육 과정에서 참여자의 현장감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비동시 학습비동시 학습에서 참여자는 자신의 일정에 따라 유연하게 과정 자료에 접근한다. 학생들은 동시에 함께 있을 필요가 없다. 원격 교육의 가장 오래된 형태인 우편 통신은 메시지 게시판 포럼, 이메일, 비디오 및 오디오 녹음, 인쇄 자료, 음성 메일, 팩스와 마찬가지로 비동시 전달 기술이다.[126][127][128]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교육은 1990년대에 등장했으며, 2000년대 전반까지는 PC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주류였으나, 2000년대, 2010년대에는 태블릿류가 비교적 저렴하게 유통되면서, 이용이 쉬워졌다.
두 가지 방법(동시 학습, 비동시 학습)을 결합할 수 있다. 열린 대학교와 캠퍼스 기반 기관에서 제공하는 많은 강좌에서는 원격으로 제공되는 세션을 보완하기 위해 주기적인 기숙사 또는 주간 수업 세션을 사용한다. 이러한 유형의 혼합 원격 및 캠퍼스 기반 교육은 최근 "블렌디드 러닝" 또는 "하이브리드 러닝"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E-러닝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하는 형태를 말하며, M-러닝과 U-러닝 등이 있다.
3. 1. 전통적인 원격 교육
컴퓨터나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이전의 원격 교육은 인쇄 매체, 오디오/비디오 카세트,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 등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주로 일방향적인 정보 전달이 이루어졌다는 특징이 있다.1728년, "케일럽 필립스(Caleb Philipps)"는 매주 우편으로 수업을 보내는 속기 교육을 광고했는데, 이는 원격 교육의 초기 시도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현대적 의미의 최초의 원격 교육은 1840년대 아이작 피트만 경이 제공한 속기 교육이다. 그는 엽서에 속기로 변환된 텍스트를 우편으로 보내고, 학생들로부터 교정을 받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했다. 학생의 피드백을 반영하는 것은 피트만 시스템의 중요한 혁신이었다. 1840년 영국 전역에 균일 우편 요금이 도입되면서 이러한 원격 교육은 더욱 확대될 수 있었다.
이러한 초기 시도는 성공적이었고, 3년 후 속기 통신 협회가 설립되어 보다 공식적인 강좌가 개설되었다. 이 협회는 이후 영국 전역에 아이작 피트만 컬리지 설립의 기반이 되었다.
1858년에는 런던 대학교에서 "External Programme"이라는 명칭의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다.
미국 최초의 통신 학교는 1873년에 설립된 가정 학습 장려 협회였다.
1894년에 설립된 옥스퍼드 월시 홀은 영국 최초의 원격 학습 대학이었다.
1920년대 영화와 1930년대 라디오의 급속한 확산은 이를 원격 교육에 활용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61] 1938년까지 적어도 200개의 시립 학교 시스템, 25개의 주 교육 위원회, 그리고 많은 대학들이 공립 학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방송했다.[62]
라디오를 이용한 최초의 대규모 원격 교육은 1937년 시카고에서 이루어졌다. 소아마비 발생으로 인해 3주간의 휴교령이 내려지자, 시카고 공립학교의 윌리엄 존슨 교육감과 민니 팰런 부교육감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원격 학습 프로그램을 시행했다.[64][65][66]
1948년 켄터키에서는 루이빌 대학교 총장 존 윌킨슨 테일러가 NBC와 협력하여 라디오를 원격 교육 매체로 사용했다. 연방 통신 위원회 위원장은 이 프로젝트를 지지하며 "라디오 대학"이 "미국 교육을 25년 앞당길 것"이라고 예측했다.[67]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의 찰스 웨데마이어는 1964년부터 1968년까지 카네기 재단의 지원을 받아 ''명확한 교육 미디어 프로젝트''(AIM)를 통해 캠퍼스 밖 학생들에게 학습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기술을 도입했다.
1970년부터 1972년까지 캘리포니아의 고등 교육 조정 위원회는 Project Outreach에 자금을 지원하여 원격 강좌의 가능성을 연구했다. 이 연구는 교실 밖 수업에 공적 자금 사용을 허용하는 법안으로 이어졌으며, 오늘날 온라인 강좌 및 프로그램의 전신인 원격 강좌의 등장을 위한 길을 열었다. 코스트라인 커뮤니티 칼리지, 댈러스 카운티 커뮤니티 칼리지 지구, 마이애미 데이드 커뮤니티 칼리지가 이 분야의 선두 주자였다.
원격 교육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먼저 활발해졌다. 광대한 국토에 비해 인구가 적고, 학교에서 떨어진 곳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았기 때문에 필요성이 컸다. 1911년에는 퀸즐랜드 대학교가 Department of Correspondence Studies(통신 학습부)를 설립했다[125]。
3. 2. E-러닝 (Electronic Learning)
E-러닝(Electronic Learning)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 콘텐츠, 강사, 전문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통해 수준별 학습이 가능한 인터넷 기반 교육이다.[126] 컴퓨터나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이전에는 인쇄매체나 방송을 통한 원격교육이 시행되었으나, 인터넷의 발달로 양방향 상호작용이 가능해졌다. 학생들은 원격교육 지원 사이트에서 영상 강의를 듣고 학습 자원과 상호작용하며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활용한 원격 교육에서는 협동학습도 가능하다.인터넷 기술은 열린 교육 자원, e-러닝, MOOC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원격 교육을 가능하게 했다. 원격 교육 기술은 동시 학습과 비동시 학습의 두 가지 전달 방식으로 나뉜다.
E-러닝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 | 설명 |
---|---|
M-러닝(Mobile Learning)[127] | 이동성을 강조하는 교육 환경으로,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 무선 매체를 활용한다. |
U-러닝(Ubiquitous Learning)[128] |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는 컴퓨터 환경을 활용하는 교육 환경이다. |
3. 3. M-러닝 (Mobile Learning)
M-러닝(Mobile Learning영어)[127]은 PDA,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성이 있는 무선 매체를 활용하는 교육 방식으로, 이동성을 강조하는 교육 및 학습 환경을 지칭한다.3. 4. U-러닝 (Ubiquitous Learning)
U-러닝(Ubiquitous Learning)은 인간을 중심으로 어디에서나 존재하는 컴퓨터 환경을 활용하는 교육 및 학습 환경을 지칭한다.[128]3. 5. 온라인 수업의 유형
온라인 수업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녹화형: 미리 녹화된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학생들은 원하는 시간에 강의를 시청하고 반복 학습할 수 있다.
- 라이브 스트리밍형: 실시간으로 강의를 송출하는 방식이다. 학생들은 정해진 시간에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
- 쌍방향형: 화상 회의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강사와 학생 간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방식이다. 질의응답, 토론 등이 가능하다. 주로 줌, 스카이프 등의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된다.
COVID-19 팬데믹 이후, 많은 교육기관에서 온라인 수업을 도입하면서 이러한 유형들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4. 교육 매체
원격 교육에 활용되는 매체는 의사소통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127][128]5. 관련 이론
원격 교육 관련 이론으로는 독립성과 자율성 이론, 교수의 산업화 이론,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이론, 학습 공간 확장 이론 등이 있다.
6. 관련 논쟁
원격 교육이 활성화되면서, 이에 대한 학자들 간의 찬반 논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닐 포스트만과 마크 포스터가 있다.
원격 교육은 유연한 일정, 학교 건물 및 인프라 수요 완화,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과의 교류 가능성 등의 장점을 통해 교육 및 훈련 접근성을 확대한다.[93][94][95][85] 평생 학습 시대에 기관의 재정적 이익에 기여하고, 강사의 역량에 따라 대면 학습만큼 효과적일 수 있으며, 교육 분야 내 의사소통 방식을 넓힐 수 있다.[93][94][82][83][96][86]
특히 학생 간 의사소통 증가는 원격 교육의 개선 사항 중 하나로, 글로벌 기관 참여 기회를 통해 다양한 사고를 접하고 학습 기반을 구축하는 데 유익하다.[97] 강사는 지역 간 학생들에게 유사한 과제를 부여하여 관계 형성을 도울 수 있다.[98]
원격 교육은 고등 교육 비용 절감에도 기여한다. 교통비 절약, 전자 교재 활용, 무료 교재 제공 디지털 출판사와의 제휴 등으로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99]
기존 교실에서는 불가능했던 방식(반복 학습, 학습 속도 조절 등)으로 학습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100][96] 의료 분야에서는 온라인 상호작용이 문제 성찰 및 논의를 촉진하고, 지속적인 접근성으로 더 큰 지원을 제공한다.[84][87][94]
장애 학생, 아픈 아이들도 로봇 프록시를 통해 교실 상호작용을 경험하며, 사회경제적 지위, 거주 지역 등에 관계없이 동등한 접근성을 제공한다.[101][102][103][104][105] 유니버설 디자인 전략을 통해 접근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106] 원격 교육 졸업생의 기부 가능성, 행동 장애 청소년에게 기회 제공, 최고의 대학 자원 활용, 교육학적 혁신 촉진 등의 장점도 존재한다.[107][108][94] 농촌 인구 유출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109]
그러나 가정 내 방해 요소, 기술 문제, 교사와의 접촉 부족 등은 원격 교육 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이다.[110][111] 학생들의 기술 교육, 학교의 사전 예방적 정책, 시간 관리 기술 등이 중요하며,[112][113] 워싱턴 주 커뮤니티 칼리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원격 학습 학생들의 중퇴율이 더 높은 경향이 있다.[114]
팡카지 싱흐는 기술 중심 사회에서 원격 학습의 이점이 클 수 있지만, 직접적인 대면 상호작용 부족 등의 단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15] 의료 전문직 프로그램은 현장 실습이 필요하며, 연구에 따르면 대면 의사소통 선호 경향이 나타난다.[116][83]
온라인 과정의 규모에 대한 이론적 문제도 존재한다. 다니엘 바윅(Daniel Barwick)은 대규모 수업과 학습 결과 간 부정적 연관성을 언급하며, 다양한 교수 방법 실험 필요성을 주장했다.[117]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MOOC)가 실험 유형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바윅은 MOOC를 옹호하지 않았다.
제도적 과제, 강사의 프로그램 구성 어려움, 학생 고립, 평가 어려움, 높은 중퇴율 등도 원격 교육의 부정적인 측면이다.[84][87][118]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와 인식 또한 중요하다.[119]
6. 1. 반대 입장 (닐 포스트만)
닐 포스트만은 참된 교육은 교수와 학생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는 원격 교육이 사제지간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도구라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교실은 인간의 자아를 길들이고 개인과 타인을 연결하며, 집단의 가치, 책임감, 배려를 보여주는 공간이다. 하지만 원격 교육은 이러한 교실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며, 오히려 디지털 빈부격차를 야기한다고 주장했다. 즉, 가진 자들은 대면 교육을 받는 반면, 가난한 자들은 온라인 강의로 내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닐 포스트만은 원격 교육이 단지 개인의 문제 해결 능력만을 강조하고, 순전히 상업적인 이해에서 대량 생산과 표준화라는 낡은 시대로 퇴보하는 경향이라고 비판한다.[93]6. 2. 찬성 입장 (마크 포스터)
마크 포스터는 원격 교육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세계를 연결하여 평등을 실현하는 교육 방법이라고 주장했다.[115] 그는 원격 교육이 성별, 나이, 재산, 지역, 신체 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보았다.[115]또한, 마크 포스터는 사이버 대학이 새로운 교육 기회를 창출하고 교육 비용을 절감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했다.[115] 원격 교육을 통해 인건비, 건물 관리비 등을 절감하여 더 높은 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115] 그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타국과 사이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공유함으로써 전 세계 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115]
7. 대안 및 발전 방향
원격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학생들의 정서적 발달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한국의 교육 환경과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한국형 원격 교육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1]
7. 1. 학습자 맞춤형 교육
학습자에게 적합한 이러닝(E-Learning) 인프라를 구축하여 개인별 맞춤 사이버 수업을 제공한다.[1] 체계적으로 설계된 콘텐츠는 멀티미디어 정보 제공, 하이퍼텍스트/하이퍼미디어, 가독성 있는 시각적 설계 등을 포함한다.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의 참여와 노력이 필요하다.7. 2. 콘텐츠 개발
체계적으로 설계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멀티미디어 정보 제공, 하이퍼텍스트/하이퍼미디어, 가독성 있는 시각적 설계)를 개발해야 한다.[1]7. 3. 상호작용 강화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의 참여와 노력이 필요하다.[1] 인터넷 기술은 다양한 형태의 원격 교육을 가능하게 했지만, 원격 교육 기술은 동시 학습과 비동시 학습의 두 가지 전달 방식으로 나뉜다.두 가지 방법을 결합할 수 있는데, 원격으로 제공되는 세션을 보완하기 위해 주기적인 기숙사 또는 주간 수업 세션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유형의 혼합 원격 및 캠퍼스 기반 교육은 "블렌디드 러닝" 혹은 "하이브리드 러닝"이라고 불린다.
원격 교육에서는 대화형 라디오 수업 (IRI), 대화형 오디오 수업 (IAI), 온라인 가상 세계, 디지털 게임, 웨비나 및 웹캐스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을 e-러닝이라고 한다.
7. 4. 정서적 발달 지원
원격 교육은 학생들의 정서적 발달을 위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대부분의 원격 교육은 학습자가 동시에 과정을 시작하고 완료하는 전통적인 캠퍼스 기반 모델과 유사한 페이스 형식을 사용한다.7. 5. 한국형 원격 교육 모델 구축
한국형 원격 교육 모델을 구축할 때는 한국의 교육 환경과 문화적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육 격차를 줄이고 평생 학습 사회를 구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소외 계층과 농어촌 지역 학생들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디지털 문해력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8. 활용 사례
칸 아카데미(Khan Academy), 코세라(Coursera), 유다시티(Udacity) 등 다양한 온라인 교육 플랫폼이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 '''칸 아카데미(Khan Academy):''' 2006년 살만 칸이 설립한 비영리 교육 서비스이다.[130] 초·중·고교 수준의 수학, 과학, 컴퓨터공학, 역사, 예술 등 4000여 개의 동영상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며, 전 세계 210여 개국에서 이용하고 있다.[130]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구글 등으로부터 기부받아 운영되며, 36개 언어로 번역된 콘텐츠를 제공한다.[130] 학생들의 동기 부여를 위해 게임 요소를 활용하고, 교사를 위한 학습 관리 기능도 제공한다. 칸 아카데미의 교육 철학을 실험하는 '칸랩스쿨'이라는 오프라인 학교도 설립했다.[130]
- '''코세라(Coursera):''' 2010년 온라인 공개 수업 등장 이후 MOOC를 부흥시킨 선두 주자 중 하나이다.[131] 듀크대학, 존스홉킨스대학, 미시간주립대학, 와튼 스쿨 등 149개 대학과 제휴하여 2천 개가 넘는 강의를 제공한다.[131] 강의는 4-6주 또는 4-6개월 과정으로 구성되며, 유료 수료증(29USD~99USD) 및 온라인 석사 학위 프로그램(15000USD~25000USD)을 운영한다.[131]
- '''유다시티(Udacity):''' 세바스찬 스런 등이 2011년 설립한 서비스로, 온라인 환경에 특화된 강의와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등 독특한 주제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132] '나노디그리'라는 취업 기술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구글, 페이스북 등 IT 기업 개발자들이 직접 강의를 제공하여 실무 중심 교육을 강조한다.[132]
8. 1.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는 '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약자로, '대규모 온라인 공개강좌' 또는 '개방형 온라인 강좌'라고 번역된다.[133] 온라인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양질의 대학 강의를 들을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의 고등교육 시스템이다.[133]MOOC는 2001년부터 MIT를 중심으로 진행된 교육자원공개운동(OER, Open Educational Resources Movement)에서 시작되었다.[133] 지식 나눔을 실천한다는 점에서 MOOC와 OCW는 유사하지만, OCW가 일방향적인 온라인 강의 공개 서비스인 반면, MOOC는 쌍방향적인 온라인 강의 공개 서비스라는 차이가 있다.[133] MOOC는 온라인 강의 수강생들에게 과제, 퀴즈, 토론, 정기적인 평가를 통해 참여를 유도하고,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수료증을 발급하거나 학점을 인증해 준다.[133]
MOOC 강의는 2011년 가을에 처음 제작되었으며,[133] 한 주 강의가 끝나면 주말 평가를 통해 60% 이상의 점수를 받아야 다음 주차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재시험은 3회까지 가능하다.[133] 수강생들은 에세이 상호 채점, 협동 과제 수행, 토론, 퀴즈 등을 통해 상호작용하며, 수강 종료 후 최종 학점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유료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133]
대표적인 MOOC 플랫폼으로는 코세라(Coursera), 유다시티(Udacity), 칸 아카데미(Khan Academy) 등이 있다.
- 코세라(Coursera): 2010년 온라인 공개 수업 등장 이후 MOOC를 부흥시킨 선두주자[131]로, 듀크대학, 존스홉킨스대학, 미시간주립대학, 와튼 스쿨 등 149개 대학과 제휴하여 2천 개가 넘는 강의를 제공한다.[131] 강의는 4-6주 또는 4-6개월 과정으로 구성되며, 유료 수료증( 29USD~99USD )을 판매하거나 온라인 석사 학위 프로그램( 15000USD~25000USD )을 운영한다.[131]
- 유다시티(Udacity): 세바스찬 스런 등이 2011년 설립한 서비스로, 온라인 환경에 특화된 강의와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등 독특한 주제에 집중한다.[132] '나노디그리'라는 취업 기술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구글, 페이스북 등 IT 기업 개발자들이 직접 강의를 제공한다.[132]
- 칸 아카데미(Khan Academy): 2006년 살만 칸이 설립한 비영리 교육 서비스로, 초·중·고교 수준의 수학, 과학, 컴퓨터공학, 역사, 예술 등 4000여 개의 동영상 강의를 무료로 제공한다.[130]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구글 등의 기부금으로 운영되며, 36개 언어로 번역된 콘텐츠를 제공한다.[130]
국내에서는 K-MOOC 사업을 통해 국내 대학들의 우수 강좌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카이스트(KAIST) 등이 참여하고 있다.[133]
9. 평가
원격 교육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들이 개발되었다. Walker는 원격 교육 학습 환경 설문조사(DELES)로 알려진 설문 조사를 개발했는데, 이는 강사 지원, 학생 상호 작용 및 협업, 개인 관련성, 진정한 학습, 능동적 학습 및 학생 자율성을 조사한다.[120] Harnish와 Reeves는 훈련, 구현, 시스템 사용, 커뮤니케이션 및 지원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121]
참조
[1]
논문
Higher education and the digital revolution: About MOOCs, SPOCs, social media, and the Cookie Monster
[2]
논문
Agriculture distance education: A valid alternative for higher education?
http://files.eric.ed[...]
1993-12-01
[3]
논문
Narrowing the Distance: Implementing a Hybrid Learning Model
https://books.google[...]
IAP
2011-01-23
[4]
서적
An Introduction to Distance Education: Understanding Teaching and Learning in a New Er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01-23
[5]
논문
A Critical look at Educational Technology from a Distance Education Perspective
http://diposit.ub.ed[...]
2020-06-01
[6]
백과사전
Simonson, Michael and Berg, Gary A.. "distance learning"
https://www.britanni[...]
2023-02-17
[7]
서적
The evolution, principles and practices of distance education
https://books.google[...]
Bibliotheks-und Informationssystem der Universitat Oldenburg
2011-01-23
[8]
논문
Reflections on Student Support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http://www.irrodl.or[...]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2003-04-01
[9]
웹사이트
The stamp: A classic object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 Social Worlds in 100 Objects, Themes and Ideas
https://le.ac.uk/soc[...]
[10]
서적
distance learning... a magazine for leaders volume 2 number 6
https://books.google[...]
[11]
서적
Distance Education: A Systems View
Wadsworth
[12]
논문
The Invisible Woman and the Silent University.
https://eric.ed.gov/[...]
2012-01-01
[13]
웹사이트
The Evolution, Principles and Practices of Distance Education, Borj Holmberg, Bibliotheks-und Informationssytem der Universitat Oldenburg 2005 page 15
https://web.archive.[...]
2020-04-16
[14]
웹사이트
"History", University of London External Programme Website
http://www.londonext[...]
Londonexternal.ac.uk
2010-04-27
[15]
웹사이트
"Key Facts", University of London External Programme Website
http://www.londonext[...]
Londonexternal.ac.uk
2010-04-27
[16]
웹사이트
History lessons at the people's university
https://web.archive.[...]
Guardianabroad.co.uk
2016-09-20
[17]
PhD
The social mediation of multinational legal education: A case study of the University of London's undergraduate laws programme for external/international students
https://qmro.qmul.ac[...]
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2015-01-01
[18]
논문
Distance education in Australian higher education – a history
[19]
웹사이트
William Rainey Harper
https://president.uc[...]
2023-02-17
[20]
서적
Community colleges: a reference handbook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1-23
[21]
서적
Correspondence Study in the American University: A Second Historiographical Perspective
[22]
서적
Pursuit of Knowledge Under Difficulties: From Self-Improvement to Adult Education in America
[23]
논문
The Correspondence School—Its Relation to Technical Education and Some of Its Results
[24]
서적
The Correspondence School
[25]
서적
Pursuit of Knowledge Under Difficulties
[26]
서적
A Union Against Unions: The Minneapolis Citizens Alliance and Its Fight Against Organized Labor, 1903–1947
https://books.google[...]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27]
서적
Letters and bytes: Sociotechnical studies of distance education
https://books.google[...]
Francis Lee
[28]
논문
Technopedagogies of mass-individualization: Correspondence education in the mid twentieth century
[29]
서적
The History of Distance Education through the Eyes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for Distance Education
[30]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web.archive.[...]
2019-03-25
[3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Distance Education
https://web.archive.[...]
2013-11-14
[3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OU
https://web.archive.[...]
[33]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2020-08-25
[34]
서적
Athabasca University The Evolution of Distance Education
University of Calgary Press
[35]
웹사이트
History of UNED (in Spanish)
http://portal.uned.e[...]
2012-01-26
[36]
웹사이트
Three Decades
http://www.fernuni-h[...]
FernUniversität in Hage
2011-01-23
[37]
웹사이트
13.2 History of distance education
http://members.aect.[...]
2020-08-25
[38]
서적
Mega-Universities and Knowledge Media: Technology Strategies for Higher Educ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1-01-23
[39]
논문
The influence of online distance learning and digital skills on digital liter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post Covid-19.
https://digitalcommo[...]
2024-01-01
[40]
웹사이트
School closures caused by Coronavirus (COVID-19)
https://en.unesco.or[...]
2021-01-12
[41]
웹사이트
290 million students out of school due to COVID-19: UNESCO releases first global numbers and mobilizes response
https://en.unesco.or[...]
UNESCO
2020-03-06
[42]
웹사이트
Virtual learning gets mixed reviews from Pocono parents
https://www.poconore[...]
2020-05-17
[43]
웹사이트
Georgia awards $21 million in digital learning grants
https://www.11alive.[...]
2020-04-28
[44]
논문
Impa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Life of Higher Education Students: A Global Perspective
2020-10-01
[45]
논문
The Right to Teach in a Hyper-Digital Age: Legal Protections for (Post-)Pandemic Concerns
[46]
논문
The impa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n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https://doi.org/10.1[...]
2023-01-01
[47]
논문
Digital Disruption in the COVID-19 Era: The Impact on Learning and Students' Ability to Cope with Study in an Unknown World
https://studentsucce[...]
2021-11-02
[48]
논문
Digital Higher Education and Copyright Law in the Age of Pandemic - The Hungarian Experience
http://www.jipitec.e[...]
2023-06-30
[49]
논문
Advantage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online learning during COVID-19 pandemic era
2020-05-01
[50]
논문
Transitioning to the "new normal" of learning in unpredictable times: pedagogical practices and learning performance in fully online flipped classrooms
2020-12-21
[51]
논문
Synchronous collaboration competencies in web-conferencing environments – their impact on the learning process
https://doi.org/10.1[...]
2011-05-01
[52]
서적
Learning online : the student experience
https://www.worldcat[...]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20-01-01
[53]
웹사이트
Strengths and Weaknesses of Online Learning University of Illinois Springfield
https://www.uis.edu/[...]
2024-04-20
[54]
서적
Teaching and Learning with Technology
https://books.google[...]
Allyn & Bacon
2007-03-01
[55]
뉴스
A Swiveling Proxy That Will Even Wear a Tutu
https://www.nytimes.[...]
2023-02-17
[56]
웹사이트
Robot brings classroom to sick students
https://www.norwichb[...]
2023-02-17
[57]
웹사이트
From a Spot on the Wall to a Seat at the Table – CEPSE/COE Design Studio
http://designstudio.[...]
2016-06-25
[58]
웹사이트
Michigan State Tests Telepresence Robots for Online Students
https://campustechno[...]
2023-02-17
[59]
서적
Distance Education for Teacher Training: Modes, Models and Methods
http://go.edc.org/07[...]
2012-09-10
[60]
웹사이트
Air college talk.
http://www.wnyc.org/[...]
www.wnyc.org
2016-11-05
[61]
서적
Teachers and Machines: The Classroom Use of Technology Since 1920
https://books.google[...]
Teachers College Press
1986-06-15
[62]
논문
Ten Years of Educational Broadcasting
[63]
서적
Community Backgrounds of Education: A Textbook and Educational Sociology
[64]
뉴스
Perspective In Chicago, schools closed during a 1937 polio epidemic and kids learned from home — over the radio
https://www.washingt[...]
2021-08-16
[65]
웹사이트
Coping with Administrative Pressures in the Chicago Schools' Superintendency: An Analysis of William Henry Johnson, 1936-1946
https://ecommons.luc[...]
Loyola University Chicago
1988-01-01
[66]
웹사이트
Remote learning isn't new: Radio instruction in the 1937 polio epidemic
https://theconversat[...]
2020-10-05
[67]
서적
The University of Louisville
[68]
웹사이트
Before Carl Sagan and Neil deGrasse Tyson, There Was Dan Q. Posin
https://www.csicop.o[...]
2018-04-25
[69]
서적
Teachers and Machines: The Classroom Use of Technology Since 1920
[70]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American Radio
https://books.google[...]
Routledge
[71]
논문
The Promise and Failure of Educational Television in a Statewide System: Delaware, 1964–1971
https://books.google[...]
[72]
서적
Teachers and Machines: The Classroom Use of Technology Since 1920
[73]
서적
What's the difference? A review of contemporary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Higher Education Policy
2011-01-23
[74]
간행물
Technology in Education and the Next Twenty-Five Years
http://thejournal.co[...]
1997-06-01
[75]
잡지
Carry on learning
https://www.newscien[...]
1995-11-28
[76]
웹사이트
Connected Education, Inc.
http://cgi.gjhost.co[...]
Electronic Networking Association
1988-02-01
[77]
웹사이트
Celebrating the 30th anniversary of the first fully online course
https://www.tonybate[...]
2016-01-18
[78]
웹사이트
Accreditation
http://www.jiu.edu/a[...]
Jones International University
[79]
웹사이트
Learning at a Distance: Undergraduate Enrollment in Distance Education Courses and Degree Programs
http://nces.ed.gov/p[...]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80]
웹사이트
Accreditation
http://www.deac.org/[...]
DEAC
[81]
뉴스
Growth for Online Learning
http://www.insidehig[...]
2013-01-08
[82]
서적
Therapy training online: Using the internet to widen access to training in mental health issues
John Wiley & Sons, Ltd
[83]
논문
A comparison of distance education instructional methods in occupational therapy
[84]
논문
Going the distance; Developing shared web-based learning programmes
[85]
논문
Teaching family therapy in an electronic age
[86]
논문
Distance supervision: Research, findings, and considerations for art therapy
[87]
논문
E-supervision as a complementary approach to traditional face-to-face clinical supervision in rehabilitation counseling: Problems and solutions
[88]
논문
Distance Education: Where It Started and Where It Stands for Gifted Children and Their Educators
[89]
논문
Alleviating the Senses of Isolation and Alienation in the Virtual World: Socialization in Distance Education
[90]
웹사이트
Community of Inquiry site
https://coi.athabasc[...]
Athabasca University
[91]
서적
Teaching Crowds: Learning and Social Media
AU Press
[92]
논문
Three generations of distance education pedagogy
[93]
논문
The Nature and Purpose of Distance Education
http://technologysou[...]
Michigan Virtual University
[94]
논문
Benefits of TED Talks
2014-12
[95]
논문
Increasing success in Higher Education: The relationships of online course taking with college completion and time-to-degree
[96]
논문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Beyo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Future Horizons
http://jolt.merlot.o[...]
2015-06
[97]
논문
Educational Benefits of Online Learning
http://blackboardsup[...]
CalPoly.edu
[98]
논문
Homophily of Network Ties and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in Computer-Mediated Distributed Teams
[99]
웹사이트
Benefits of Online Education
http://www.worldwide[...]
Worldwidelearn.com
[100]
논문
Online Versus In-Class Courses: An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Learning Outcomes
http://www1.chapman.[...]
2009-09
[101]
논문
An Explora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Distance Education
http://www.westga.ed[...]
2011-12-15
[102]
뉴스
A Swiveling Proxy That Will Even Wear a Tutu
https://www.nytimes.[...]
[103]
웹사이트
Robot brings classroom to sick students
http://www.norwichbu[...]
[104]
웹사이트
Robot brings classroom to sick students
http://www.norwichbu[...]
[105]
웹사이트
Cyber-charter Schools: The end of Public Education or a New Beginning
http://madamenoire.c[...]
2010-11-22
[106]
웹사이트
Equal Access: Universal Design of Distance Learning
http://www.washingto[...]
2013-02-12
[107]
논문
Untapped Potential: Seeking Library Donors among Alumni of Distance Learning Programs
https://commons.erau[...]
[108]
웹사이트
Business Schools: Going Digital Simply Must Make Sense!
https://blog.efmdglo[...]
[109]
웹사이트
Quebec can become a 'leader in distance learning" at universities: MEI
https://www.thesubur[...]
2021-10-06
[110]
웹사이트
Stress, disruption and community — Adult learners' experiences of obstacles and opportunities in distance education
http://www.eurodl.or[...]
Department of Child and Youth Education, Special Education and Counselling, Umeå University
2011-12-03
[111]
웹사이트
Barriers to Learning in Distance Education
http://www.infrastru[...]
2012-04-10
[112]
웹사이트
Quality issues in distance learning
http://www.aacsb.edu[...]
2007-07
[113]
웹사이트
Library: Remote learning: Time management
https://libguides.hu[...]
2024-04-19
[114]
웹사이트
Online and Hybrid Course Enrollment and Performance in Washington State Community and Technical Colleges
http://ccrc.tc.colum[...]
2011-03
[115]
웹사이트
Unleashing the potential of ODL – "Reaching the unreached"
http://www.scdl.net/[...]
2018-01-24
[116]
웹사이트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istance Learning
http://www.distancel[...]
[117]
웹사이트
Views: Does Class Size Matter?
http://www.insidehig[...]
2011-10-03
[118]
문서
The Riddle of Distance Education
Geneva
2003-06-01
[119]
논문
Postgraduate research supervision at a distance: A review of challenges and strategies
[120]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for Assessing Distance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in Higher Education: The Distance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Survey (DELES)
https://espace.curti[...]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121]
논문
Issues in the evaluation of large-scale two-way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systems
[122]
서적
E-Learning in the 21st Century: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Taylor & Francis
2017-01 # page needed date
[123]
논문
Greater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s in Indonesia and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124]
서적
Level-setting and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The use of level descriptors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unesdoc.unesc[...]
Paris, UNESCO
[125]
논문
Distance education in Australian higher education — a history
[126]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27]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28]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29]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30]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31]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32]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33]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팀뷰어, 하노버 메세에서 몰입형 공간 컴퓨팅 솔루션 소개 – 바이라인네트워크
북한, '원격 대학' 교육 강조…"김책공대 등록 근로자만 수만 명"
“몰라서 못 쓰지 않길” 현대아이티가 말하는 전자칠판의 가능성 – 바이라인네트워크
[CES 2021] 인텔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방법 – 바이라인네트워크
“원활한 원격수업 위해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 바이라인네트워크
‘온라인 개학’ 원격교육 위해 뭉친 정부·기업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